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카드뉴스

  • 홈으로
게시물 조회
녹색 신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합니다
  • 부서명
    디지털소통팀
  • 등록자명
    김정현
  • 등록일자
    2023-02-01
  • 조회수
    546

2023년 환경부 업무보고 나라를 단단하게 국민을 든든하게 환경부 녹색 신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합니다(주요실행과제 1) 미래 유망 3대 녹색 신산업을 확대·육성합니다 탄소중립 그린수소 재생e→물분해→수소 재생에너지 수상태양광(2023년 신규 2개소), 바이오가스(2023년 신규 4개소) 순환경제 도시유전 공공 열분해 시설(2023년 2개소) 도시광산 폐배터리에서 희소금속 고효율 회수 기술 개발 물 소재·부품·장비 초순수 등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상하수도(~2023년), 해수담수화(서산, ~2024년) 등(주요실행과제 2) 녹색산업 수출국으로 도약합니다 녹색산업의 해외 진출 본격화 [2023년 내 20조 원 수주 목표] 구분 중동지역 중앙·동남아시아 대상국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주요 프로젝트 그린수소, 해수 담수화 분야 산업단지 내 상하수도, 매립가스 발전소 수출 목표액 17.5조 원 2.1조 원 임기내 녹색신산업으로 수출분야 다각화 → 총 100조원 수주 효과 창출(주요실행과제 3) 현장의 요구에 부응한 맞춤형 수출 지원 정책을 수립합니다 ● 민·관 녹색산업 수출 얼라이언스 즉시 출범 - 주요국 대상(우즈백, 오만 등) 장·차관이 직접 세일즈 외교 ● 녹색 채권과 녹색금융 활성화 녹색채권 총 3조 원 규모 발행 지원 녹색금융 총 3.5조 원 규모 금리 지원 ● 녹색 공적개발원조(그린 ODA) 확대 2022년 45억 원 → 2023년 124억 원(주요실행과제 4) 주요 전략산업을 환경 측면에서 적극 지원합니다 반도체 초순수(ultra pure water) 생산기술 국산화 (2025년까지) 석유제품 열분해유를 석유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제혁신 자동차 무공해차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내수시장 확대 무공해차 보급목표(누적)  2023년 70만 대→2027년 200만 대→2030년 450만 대녹색산업을 성장동력으로 만들고 국가 전략산업을 환경측면에서도 든든하게 지원하겠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