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 화면


- 지역마당
- 왕피천 이야기
- 생태경관보전지역
- 일반현황
일반현황
일반현황
- 보전지역 지정 현황
- 근거: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 12호 및 동법 제12조
- 면적: 102.84㎢(국, 공유지 94% 차지)
-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생태계의 표본지역
- 그 밖에 하천·산간계곡 등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역
단위: ㎢
지역 (지정일) |
면적 | 핵심구역 ('05.10.14) |
완충구역 ('06.12.08) |
전이구역 |
---|---|---|---|---|
소계 | 102.84(100%) | 45.35 | 55.64 | 1.85 |
을진군 | 90.30(87.8%) | 45.35 | 43.55 | 1.40 |
영양군 | 12.54(12.2%) | - | 12.09 | 0.45 |
보전지역 지정 현황도
보전지역 내 자연생태계 현황(자연환경정밀조사 결과)
1. 지질, 지형
- 침식지형 : 감입곡류구간, 폭포, 소, 미앤더코어, 하식애 등
- 퇴적지형 : 포인트바, 구하도, 사력퇴적지(bar) 등
2. 식물상(466분류군)
- 관속식물 : 총 86과 264속 373종 49변종 7품종의 429분류군
- 양치식물 : 8과 20속 26종 2변종 1품종 총 29분류군
- 귀화식물 : 6과 8속 8종 총 8분류군
※ 환경부 특산식물 : 처녀치마 등 총 10종
※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 : 들통발 등 총 10종(Ⅴ급 6종, Ⅳ급 4종)
※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 : 들통발 등 총 10종(Ⅴ급 6종, Ⅳ급 4종)
3. 식생
- 자연식생 :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 굴참나무군락 등
- 인위식생 : 잣나무식재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등
- 산림 인접 수변부 : 버드나무류군락과 달뿌리풀군락이 선상으로 분포
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총 138종)
- 4문 6강 16목 58과 138종 8,037 개체가 확인
- 한국고유생물종 : 주름다슬기 등 9종
- 국외반출승인종 : 가는무늬하루살이 등 5종
5. 곤충(총 355종)
- 16목 355종 확인
- 버들잎벌레, 보라색입벌레, 꼬마남생이무당벌레 등
6. 어류(총 23종)
- 9과 20속 23종 확인
- 한국고유종 : 꺽지 등 6종
7. 양서, 파충류(총 24종)
- 총 10과 14속 24종 287개체 확인
- 양서류(5과 6속 11종), 파충류(5과 8속 13종)
※ 멸종위기Ⅰ급 : 구렁이(청문으로 확인)
8. 조류(총 85종)
- 총 16목 40과 56속 85종 3,977개체 확인
- 멸종위기Ⅰ급(매), 멸종위기Ⅱ급(큰고기, 개구리매, 말똥가리, 흰목물떼새)
9. 포유류(총 16종)
- 총 5목 11과 16속 16종 확인
- 멸종위기Ⅰ급(산양, 수달), 멸종위기Ⅱ급(삵, 담비) 서식흔적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