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보령댐 가뭄 경계단계 진입, 도수로 가동 용수공급
  • 등록자명
    강민지
  • 부서명
    수자원정책과
  • 연락처
    044-201-7612
  • 조회수
    6,177
  • 등록일자
    2021-08-16

▷ 보령댐의 안정적인 생활·공업용수 공급을 위해 하루 최대 11만 5천톤의 금강 하천수를 보령댐에 보충하는 도수로 가동

▷ 환경부 소관 다목적댐·용수전용댐 34곳의 용수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댐 저수상황 관리 강화, 용수 비축 등 총력 대응


환경부(장관 한정애)와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는 다목적댐인 보령댐이 가뭄 '경계' 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생활·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하루에 최대 11만 5천 톤의 금강 하천수를 보령댐에 보충할 수 있는 도수로를 8월 16일 오후부터 가동했다고 밝혔다.  

※ 환경부 관리 댐은 총 34곳으로 다목적댐 20곳과 용수전용댐 14곳으로 구성


환경부는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다목적댐의 경우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로, 용수전용댐의 경우 관심-주의-심각 3단계로 구분해 용수공급량을 관리하고 있다.

※ (관심) 수요량 공급 → (주의) 하천유지 용수를 최대 100%까지 감량 → (경계) 농업용수 실사용량의 20~30%까지 추가 감량 → (심각) 생활·공업용수 20% 추가 감량


8월 12일 기준으로 저수율 28%인 보령댐은 지난 6월 21일에 '관심' 단계에 진입하고 7월 25일에 '주의' 단계에 진입하여 하천유지용수를 50% 감량해왔다. 


이번에 보령댐이 '경계' 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이날부터 가동하는 도수로는 금강에서 하루 최대 11만 5천 톤의 물을 끌어다가 댐에 공급한다.


도수로에서 공급하는 수량은 보령댐의 생활·공업용수 수요량(하루 약 24만 4천 톤)의 47%에 이른다.


아울러 환경부는 보령시,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벼 등 주요 작물의 농사가 점차 마무리되는 9월 6일부터 보령댐에서 공급하는 농업용수 실사용량의 30%를 감량할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 소관 34곳 댐 중에서 현재 '주의' 단계 이상인 곳은 이번 보령댐과 용수전용댐인 운문댐으로 총 2곳이다.


8월 12일 기준으로 저수율 41%인 운문댐은 6월 3일 '관심' 단계를 시작으로 6월 28일 '주의' 단계에 진입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운문댐에서 공급하는 하천유지용수와 농업용수를 탄력적으로 감량하고 있다. 

※ 운문댐은 가뭄 '주의' 단계에 진입한 6월 28일부터 현재(8.12)까지 하천유지용수의 약 54%, 농업용수의 약 19%를 감량  


아울러 대구시의 지방상수도 급수체계를 조정하여 생활·공업용수 중 일부를 대체해 공급하고 있다. 

※ 운문댐 물을 공급받는 대구시 고산정수장의 급수구역 중 일부를 대구시의 매곡?문산 정수장 등의 생산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대체공급 중(최대 10.7만톤/일)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현재(8월 12일 기준) 다목적댐 20곳의 평균 저수율은 각 댐별로 담수를 시작한 예년 평균에 비해 108.1%, 용수전용댐 14곳 경우 예년 대비 97.4%로 대부분의 댐이 정상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라면서 "저수율이 비교적 낮은 보령댐 등 일부 댐의 용수 수급 상황을 세심하게 관리하여 국민들의 물 사용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다목적댐과 용수전용댐 저수현황.

        2.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 개요. 

        3. 보령댐 도수로 현황.  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