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10년간 유입주의 생물 지정 15배 확대되고 습지보호지역 5배 늘어…생물다양성 통계 공개
  • 등록자명
    남은정
  • 부서명
    생물다양성총괄과
  • 연락처
    032-590-7319
  • 조회수
    1,916
  • 등록일자
    2025-05-21

▷ 국립생물자원관, ‘2024 국가생물다양성 통계자료집’ 발간… 정책 과제 한눈에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2024 국가생물다양성 통계자료집’을 발간한다고 밝혔다. 


전자책(e-book) 형태로 제작된 이 자료집은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누리집(kbr.go.kr)에서 5월 21일 오후부터 열람할 수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국가생물다양성센터* 역할을 맡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생물다양성 정보를 취급하는 관계 부처의 자료를 종합해 2013년부터 매년 ‘국가생물다양성 통계자료집’을 발간하고 있다. 이번 자료집은 2024년 12월을 기준으로 정리한 자료를 담고 있으며, 최근 10년간의 변화 추이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17조제2항에 따라 생물다양성의 체계적인 보전·관리 및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하여 정보의 수집, 관리, 제공을 지원하는 국가 기관


이 자료집의 주요 통계에 따르면, 유입주의 생물 지정 종수는 2015년 55종에서 2024년 853종으로 15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생태계 교란 생물 지정도 18개 분류군에서 40개 분류군(1속 39종)으로 늘었다. 


이는 기후변화, 국제교역 증가 등으로 외래종 유입이 증가했으며, 이들의 수입과 거래를 제한하고 관리하는 정부의 관련 정책도 함께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된 생물종수*는 2015년 4만 5,295종에서 2024년 6만 1,230종으로 늘어났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2015년 246종에서 2024년 기준 282종(Ⅰ급 68종, Ⅱ급 214종)으로 관리되고 있다. 

* 한반도 전역의 생물종수는 10만여 종으로 추정


한편, 2000년대 이후 국제적으로 보호지역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2022년 12월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K-M GBF)에서 2030년까지 세계 육지와 해양 면적의 최소 30% 이상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해 효과적으로 관리하자고 결의된 바 있다. 


우리나라도 국가생물다양성전략*에 이를 반영했으며 지난 10년간 습지보호지역은 2015년 356㎢에서 2024년 1,750㎢로 약 5배 늘었고, 습지를 제외한 해양보호구역 면적도 1.7배 정도 증가(2015년 254㎢ → 2024년 436㎢)했다.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7조에 근거 생물다양성 보전 및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분야별 목표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이행 계획을 포함하는 종합적 정책


유호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통계자료집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변화 추이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라며, “생물다양성 관련 정책의 수립, 이행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과학적 통계 작성과 정보 제공에 더욱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2024 국가생물다양성 통계자료집」주요 내용.

      2. 주요 용어 설명.  끝.

담당 부서 국립생물자원관 책임자 과  장  강재신 (032-590-7171)  생물다양성총괄과 담당자 연구관 노태권 (032-590-7316) 연구사 남은정 (032-590-7319)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