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2022년 화학물질 취급업체 2020년 대비 4.6% 증가, 취급종류는 4.1% 증가
  • 등록자명
    전상인
  • 부서명
    화학물질정책과
  • 연락처
    044-201-6785
  • 조회수
    4,155
  • 등록일자
    2024-07-24

▷ 환경부, 제5차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공개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제5차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2022년 한 해 동안 화학물질 취급업체 3만 8,829개 사업장에서 3만 2,910종의 화학물질을 취급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0년 제4차 조사 대비, 취급업체 수는 4.6%(1,722개), 화학물질 종류는 4.1%(1,310종)가 각각 증가한 수치이며, 화학물질 통계조사 이후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98년부터 4년마다 조사를 시작한 ‘화학물질 통계조사’는 2014년부터 ‘화학물질관리법’ 제10조에 따라 2년마다 조사(10년간 5차례)하고 있다.


이번 ‘제5차 화학물질 통계조사’에서는 △화학물질 취급(제조, 보관·저장, 사용, 수출입) 사업장, △화학물질 및 혼합물질 기준량*을 초과하여 취급하는 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화학물질 취급량을 조사했다.

* 연간 취급량 1톤, 유해화학물질 100kg(단, △제조업, △전기, 가스 및 공기조절 공급업,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은 취급량에 관계없이 모두 대상)


화학물질 취급량을 형태별로 나눠보면, △제조량 5억 7,709만 톤, △수입량 3억 7,242만 톤, △사용량 11억 6,087만 톤, △수출량 1억 2,924만 톤으로 나타났다.


이를 ‘제4차(2020년도) 화학물질 통계조사’와 비교하면 제조량은 0.6%(348만 톤), 수입량은 6.2%(2,178만 톤), 수출량은 3.3%(414만 톤)증가했고, 사용량은 28.4%(4억 6,014만 톤) 감소했다. 


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을 업종별로 나누면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이 13.7%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13.6%), 도매 및 상품 중개업(10.0%)의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유해화학물질 제조량은 7,000만 톤, 수입량은 1,340만 톤, 사용량은 6,640만 톤, 수출량 1,940만 톤으로 총 1억 6,920만 톤이 취급되었다. 이는 2020년 대비 제조량은 10.5% 감소, 수입량은 6.4% 증가, 사용량은 27% 감소, 수출량은 9.8% 감소한 결과다.


화학물질 제조량 상위권 순위를 살펴보면, 제조량은 포틀랜드 시멘트(6,180만 톤), 경유(5,720만 톤), 철(2,980만 톤), 질소(2,850만 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 비해 제조량이 증가한 물질은 철슬래그(440만 톤↑), 알루미늄(280만 톤↑), 납사(270만 톤↑), 휘발유(260만 톤↑) 등이다.


제조량이 감소한 물질은 철(960만 톤↓), 산소(670만 톤↓), 과산화수소(610만 톤↓), 산화칼슘(370만 톤↓) 등이다.


수입량 상위권 순위를 살펴보면, 석유(1억 4,500만 톤), 천연가스(3,130만 톤), 철(3,060만 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대비 수입량이 증가한 물질은 석유(1,820만 톤↑), 천연가스(1,380만 톤↑) 등이다. 


수입량이 감소한 물질은 철(260만 톤↓), 석탄(180만 톤↓), 납사(150만 톤↓) 등이다.


사용량 상위권 순위를 살펴보면, 천연가스(2억 2,980만 톤), 석유(1억 3,270만 톤), 질소(6,010만 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대비 사용량이 증가한 물질은 천연가스(3,310만 톤↑), 등유(740만 톤↑), 석유(560만 톤↑), 폴리에틸렌(510만 톤↑), 차콜(410만 톤↑) 등이다. 


사용량이 감소한 물질은 수소(1억 340만 톤↓), 석회석(7,270만 톤↓), 산소(5,390만 톤↓), 메탄올(4,850만 톤↓), 철(2,670만 톤↓) 등이다.


수출량은 경유(2,240만 톤), 등유(1,250만 톤), 석유(1,140만 톤), 휘발유(660만 톤) 등의 순으로 많았다. 2020년 대비 수출량이 증가한 물질은 휘발유(240만 톤↑), 폴리우레탄(220만 톤↑) 등이다. 수출량이 감소한 물질은 경유(300만 톤↓), 납사(160만 톤↓), 아스팔트(140만 톤↓), p-자일렌(100만 톤↓) 등이다.


이번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는 화학물질안전원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누리집(icis.m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계영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이번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를 화학사고 예방과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2020년 대비 제조, 수입, 수출량이 증가한 만큼 화학물질의 유통 및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하여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화학물질 통계조사 개요.

2. 연도별·형태별 유통 현황.

3. 제조·수입·사용·수출 현황.

           4. 질의응답.

           5. 전문용어 설명.  끝.


담당 부서 총괄 환경부 책임자 과  장  마재정 (044-201-6770) 화학물질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전상인 (044-201-6785) 협업 화학물질안전원 책임자 과  장  윤준헌 (043-830-4210) 사고예방심사1과 담당자 연구관 김정곤 (043-830-424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