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검색
ENGLISH
이동통신누리집
환경부 유투브 채널 이동
환경부 인스타그램 이동
환경부 페이스북 채널 이동
환경부 트위터 채널 이동
환경부 블로그 채널 이동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개·비공개정보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목록
사전정보공표
행정정보공개
재정정보공개
정책실명제
먹는물영업자 위반현황
환경영향평가
공공데이터개방
개방현황
개방신청
담당자 안내
감사·청렴마당
감사결과공개
감사·청렴활동 관련 규정
반부패 청렴 플랫폼
부패행위자 현황공개
적극행정
제도소개
적극행정 국민추천
소극행정신고
적극행정자료실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적극행정위원회 활동
적극행정 모니터링단 활동
정보공개시스템
바로가기
공공데이터포털
바로가기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환경신문고
환경민원포털
안전신고
밀렵·밀거래신고
습지보호지역 위반행위 신고 포상제도
예산낭비신고
보조금 부조리 신고센터
질병에 걸린 야생동물 신고 제도
공직비리(부패)신고
공공분야 갑질피해 익명신고
공익신고
민원신청
일반민원(질의응답)
자주하는 질문
서식민원
서식자료
국민참여
장관과의 대화
국민제안
설문조사
정책토론
전자공청회
정부포상 추천대상자 공개검증
환경정책 공모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국민신문고
바로가기
규제개혁신문고
바로가기
규제혁신추진단
바로가기
법령·정책
환경법령
현행법령
최근 제·개정법령
입법예고
행정예고
고시·훈령·예규
환경정책
전체
환경정책일반
환경보건
기후대기
물환경관리
상하수도
자연보전
자원순환
수자원
기타
국가법령정보센터
바로가기
발행물
환경 간행물
전체검색
환경통계연감
환경백서
대기환경월보
폐기물통계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수질통계
환경책자
알기쉬운 소책자
주제별
연도별
환경동화
환경 웹진
케미스토리
바로가기
국가환경교육 통합플랫폼
바로가기
환경부 소식지 신청
바로가기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디지털 도서관
바로가기
기관소개
기관소개
환경부 장관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일반현황
연혁
상징(MI)
안내
조직 안내
업무 안내
층별 안내
찾아오시는 길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
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마이메뉴 닫기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공데이터개방
감사·청렴마당
적극행정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민원신청
국민참여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법령·정책
환경법령
환경정책
발행물
환경 간행물
환경책자
환경동화
환경 웹진
알림·홍보
뉴스·공지
홍보자료
기관소개
일반현황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안내
알림·홍보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홍보동영상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
홍보동영상
검색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게시물 조회
환경 톡톡톡! 원기자가 간다! -12편 대서양연어 위해우려종 편-
등록자명
환경부
조회수
3,218
등록일자
2019-06-28
자막
2016년 6월 위해우려종으로 지정된 대서양연어 제2의 베스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와 피해예방이 필요합니다.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이준희 과장님을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위해우려종으로 지정된 대서양연어?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이준희 과장님 -국내에 유입될경우 생태계ㅔㅇ 위해 우려가 있는 종 올해 5월 기준 153종 1속을 위해 우려종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대서양연어의 경우 2016년 6월에 위해우려종으로 지정을 하였는데 국내 연어 양식 등의 상업적 목적으로 반입을 허용해 달라는 요청이 있습니다. Q.위해우려종으로 지정된 대서양연어가 반입되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이준희 과장님 -대서양연어는 다른 연어들에 비해 공격성이 높아 토착종의 생장을 저해할 우려가 있고 토착종과의 교잡으로 인한 유전자 변질 우려가 높으며 전염병 전파 가능성도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Q.국내에서 애초에 반입을 안했으면 되는게 아닌지?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이준희 과장님 -식용 등의 상업적 목적으로 국내 유입시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성을 정확히 판단해야 되고 위해우려종의 경우 위해성 심사를 통해 생태계 관리기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수입승인 여부 결정 Q.돌발질문: 베스, 블루길 같은 외래어종 잡기 대회를 통한 시용 등이 외래어종 퇴치에 도움이 되나요?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이준희 과장님 - 일명 손맛을 보고 다시 놔주는 경우가 많은데 방사하지 않고 식용등으로 활용하면 퇴치에 도움이 됩니다. 베스, 블루길 같은 생태계 교란 생물은 잡은 경우 방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위해우려종이 이미 국내에 확산되 조치하려면 늦습니다. 양식이나 판매등의 상업적 목적의 반입이나 수입은 생각이나 시도 자체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학술목적의 수입이라도 철저한 관리와 예방이 필요한거 같습니다. 오늘 나와주신 이준희 과장님 감사합니다.
이전글
올 여름방학, 더 완벽하게 보내는 방법
다음글
국민생각함) 미세먼지 궁금증 환경부 담당 사무관이 답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