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카드뉴스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전기차 스마트 제어 충전기 무엇이 진짜인가요?
  • 부서명
    디지털소통팀
  • 등록자명
    이다영
  • 등록일자
    2025-11-20
  • 조회수
    210

기후에너지환경부 전기차 스마트 제어 충전기 무엇이 진짜인가요?기후에너지환경부 스마트 제어 충전 정책은 전기차 화재 예방만을 위해 나온 정책이 아닙니다 스마트 제어 충전기는 복합 안전·편의 기능*을 위한 인프라 고도화 정책의 결실입니다 충전 100%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자동결제 충전(PnC), 양방향 충·방전 등기후에너지환경부 모뎀 설치로 충전 제어, 양방향 충·방전 기능 등이 강화되었습니다 기존 완속충전기에 PLC 모뎀(통신기능 부품)을 장착해 안전과 편의성 등의 기능을 강화한 것으로 모뎀 설치 예산은 '낭비'가 아닙니다기후에너지환경부 스마트 제어 기능을 구현한 전기차가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올해 초에는 일부 차종에만 적영됐지만, 11월부터 현대·기아, 테슬라 등 전기차 제작사가 스마트 제어 기능 구현을 위해 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 전기차 제작사는 2025년 11월부터 2026년 초까지 스마트 제어를 위한 통신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계획을 수립. 제작사가 스마트 충전 기능을 구현하지 않을 경우, 2026년 전기차 보조금 지원대상에서 제외기후에너지환경부 스마트 제어 충전, 국제표준 기반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스마트 충전은 국제 통신표준(ISO 15118)을 기반으로 부가서비스(VA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을 개발한 기술입니다 ※ (사례) 독일은 에어컨 히터를 미리 켜는 기능을 구현하는 VAS 개발, 대한민국은 충전제어(화재안전) 등을 위한 VAS 개발기후에너지환경부 완속충전기 전체를 스마트형으로 보급 불필요? 스마트 충전은 자동결제 기능뿐 아니라, 충전 제어, 양방향 충·방전 등 안전과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기술(충전 인프라 고도화)입니다기후에너지환경부 과거 흑백 텔레비전 시대에 컬러 방송 송출이 시작됐듯이, 스마트 충전기도 먼저 구축돼야 최적 충전, V2G등 미래 서비스가 현실이 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