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 화면


- 지역마당
- 낙동강기행
- 낙동강문화
지역마당
낙동강문화
1. 낙동강수계 경상북도 지방의 전래민속
구분 | 시·군별 | 민속명 | 주요내용 | 행사시기 | 비 고 |
---|---|---|---|---|---|
1 | 경산시 | 자인 한강군제 | * 옛고을에 침입한 왜적을 무찔렀다는 한 장군을 기념 * 조선시대 |
오월단오 | 국가 44호지정 (여원무) |
자인 팔광대놀이 | * 자인 한장군제와 함께 놀이 * 조선시대 |
- | - | ||
한내동단오제 | * 한 장군 기념 | - | - | ||
2 | 고령군 | 장승제놀이 | * 전설에서 유래한 풍년제 | 여름철 | 1984년재현 |
고령씨름 | * 씨름놀이 | 오월단오 | - | ||
3 | 구미시 | 사직단, 기우단, 성황당 |
* 國泰民安을 기원하기 위한 제사 | - | - |
4 | 군위군 | 박시놀이 | * 청장년의 놀이 | 음력정월 | 1984년 재현 |
5 | 금릉군 | 빗내농악 | * 빗내마을에서 행해지는 풍년제 | - | 경북제8호지정 |
6 | 김천시 | 정치기 | * 고려때부터 행해져오는 격구놀이 | 오월단오 | 1965년 발굴 |
7 | 달성군 | 동제 | * 지역적인 단합, 화목을 위한 제례 | 정월보름 | - |
8 | 문경·점촌 | 석진놀이 | * 임진왜란때 군량미를 보호하기 위한 민병대의 활약을 기리는 놀이 | 정월대보름 | - |
9 | 봉화군 | 황목농악 | * 농악과 질굿, 다리굿, 판굿 등이 행해짐 | 음력 1월 14일 | - |
싸시래기 | * '집들이'나 '초상집'에서 친구들이 모여 놀던 놀이 | 집들이 또는 초상때 | - | ||
10 | 상주시·군 | 정기룡장군놀이 | * 임진왜란 당시 명장 정기룡장군을 기념하기 위한 놀이 | - | 10월문화재 시연 |
11 | 선산군 | 상량놀이 | * 전통가옥을 짓는 과정을 놀이로재현 | 집지을때 | 1989년 재현 |
12 | 성주군 | 관왕묘제와 줄다리기 |
* 관운장에 대한 國泰民安의 제례 | 정월대보름날 | - |
내황당산 기우제 | * 마을 공동 기우제 여름가뭄때 | - | - | ||
13 | 안동시 | 하회별신굿 | * 지산밟기와 같은 형태로 놀아지던 * 제의적 성격을 갖는 탈놀이 |
- | 국가 69호지정 |
동채싸움 (차전놀이) |
* 후삼국시대부터 유래 | - | 국가 24호지정 | ||
놋다리밟기 | * 여성들에 의하여 행해지던 세시풍속 놀이 | 음력정초 | 경북 7호 지정 | ||
화회선유 출불놀이 |
* 민속놀이로 뱃놀이, 술불놀이, 낙화놀이, 달걀불놀이가 있다 | 음력 7월 16일 | - | ||
14 | 영양군 | 원놀음 | * 동네 청년들이 즐기던 민속극 | 음력정초 | - |
15 | 영주시 | 용꼬리따기 | * 임진왜란 당시 백성들의 단합을 회고 | - | 10월 문화제 시안 |
16 | 영풍군 | 순흥줄다리기 | * 금성대군의 단종복위 모의로 순흥도호부가 폐부된 이래 숙종대 순홍부사가 부설을 기념 | 정월대보름날 | 10월 문화제 시안 |
17 | 영천시 | 곳나무 싸움놀이 | * 이웃마을간의 놀이 | 음력 정월 5일 | - |
18 | 예천군 | 청단놀음 | * 전설에서 기인한 가면묵극 | 정월대보름날 | 1981년 재현 |
19 | 의성군 | 의성가마싸움 | * 학동들이 서당을 중심으로 행하던 놀이 | 8월 추석날 | 1980년 재현 |
의성기와밟기 | * 고려 공민왕때 공주를 환영하기 위한 행사 | 정월대보름날 | - | ||
20 | 청도군 | 천왕기 싸움과 차산농악 |
* 마을간의 위세 다툼으로 유래 | 음력 정월초 | - |
화양줄다리기 | * 옛 형장의 원귀를 달래기 위해 유래 | 정월대보름날 | - | ||
21 | 청송군 | 회싸움 | * 두 마을간 화재를 막기위한 기원 | - | - |
22 | 칠곡군 | 부락제 | * 國泰民安을 비는 부락공동체적 행사 | 음력정월 | - |
※ 자료 : 부산직할시 북구(1993) 낙동강유역 민속·민요집
2. 낙동강수계 강원특별자치도 지방의 전래민속
구분 | 시·군별 | 민속명 | 주요내용 | 행사시기 | 비 고 |
---|---|---|---|---|---|
1 | 태백시 | 태백산천재(天祭) 의식 | * 삼한시대부터 행해지던 민족신앙의 근원이 되는 제례의식 | 개천절 | (천제단) 국가중요 민속자료 228호지정 |
태백갈풀놀이 | * 퇴비를 장만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민속놀이 | - | - |
3. 낙동강수계 대구광역시의 전래민속
구분 | 시·군별 | 민속명 | 주요내용 | 행사시기 | 비 고 |
---|---|---|---|---|---|
1 | 수성구 | 고산농악 | * 동제의 왕복길에 이루어진 농악 | 정월 대보름 | 대구 1호 지정 |
2 | 서 구 | 날외북춤 | * 날뫼지역에서 이루어지던 복춤 | - | 대구 2호 지정 |
3 | 수성구 | 욱수농악 | * 옥수동에서 천왕받이굿에서 파생된 농악 | 정원초순 | 대구 3호 지정 |
4 | 서 구 | 비산동천왕매기 | * 비산동의 고목에 치성을 드리는제례 | 정월초순 | 대구 4호 지정 |
5 | 중 구 | 건들바우치성굿 | * 건들바위에서 치성을 드리는 굿 | - | - |
4. 낙동강수계 경상남도 지방의 전래민속
구분 | 시·군별 | 민속명 | 주요내용 | 행사시기 | 비 고 |
---|---|---|---|---|---|
1 | 거창군 | 누석단 | * 마을간의 석전놀이의 승리를 비는 돌단 | - | - |
2 | 김해시 군 | 가락오광대 | * 해안지방에서 이루어지던 탈놀이 | 2월 | - |
풍신제 | * 주부가 가내태평을 비는 의식 | 농사철 | - | ||
농신제 | * 풍년을 기원하는 제례 | 음력 4월 8일 | - | ||
돌싸움놀이 (석전) |
* 가락국때부터 유래한 돌싸움 놀이 | - | - | ||
3 | 밀양시 | 밀양백중놀이 | * 머슴들의 휴가일에 농신제를 지낸후 이루어지는 놀이 | 음력 7월15일 | - |
무안용호놀이 | * 놀이 준비하는 행사를 줄다리기 | - | - | ||
감내게줄당기기 | * 게모양의 줄을 당기는 놀이 | - | - | ||
4 | 산청군 | 기우제 | * 금줄을 치고 물병에 솔잎을 꽂아지내는 기우제 | 가뭄때 | - |
5 | 양산군 | 가야진사제향 | * 국태민안을 비는 제례 | 음력 2월 | - |
6 | 의령군 | 황소싸움 | * 농경사회에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소싸움놀이 | 명절때 | - |
큰 줄땡기기 | * 풍년농사를 기원하는 줄다리기 놀이 | 정월대보름날 | - | ||
7 | 진주시 진양군 |
진주농악 | * 농경작업의 고달픔을 잊기위한 농악 | 음력 2월 | 국가 제 11호지정 |
진주검무 | * 신라시대 유래하여 관기에 의해 전송되어온 무용 | 음력 2월 | 국가 제 12호지정 | ||
한량무 | * 진주 교방에서 전해내려온 무인국무 | - | 경남 3호지정 | ||
진주포구락무 | * 놀이를 기악과 노래와 춤으로 형상화한 전통예술 | - | 경남 12호지정 | ||
8 | 창녕군 | 영산쇠머리대기 | * 나무로 된 도구를 접합하여 행하는 놀이 (차전놀이와 유사) |
- | 국가 25호지정 |
영산줄다리기 | * 대형줄을 이용한 줄다리기 | - | 국가 68호지정 | ||
9 | 창원시 군 | 문창제 | - | - | 경남 5호지정 |
10 | 함안군 | 함안화천농악 | - | - | - |
함안거북놀이 | - | - | - | ||
11 | 함양군 | 산성놀이 | - | - | - |
12 | 합천군 | 밤마을오광대가 연극 | - | - | - |
5. 낙동강수계 부산광역시의 전래민속
구분 | 시·군별 | 민속명 | 주요내용 | 행사시기 | 비 고 |
---|---|---|---|---|---|
1 | 북 구 | 당산제 | * 당산나무에 소원을 비는 동제 | 정월 대보름 | 부산 1호 지정 |
사상연구제단 | * 임진왜란때 전사한 주민의 넋을 기리기 위해 조직한 연구계 | 음력 4월 14일 | - | ||
영산재 | * 부처님 강림을 발기위해 불고음악인 범음범패를 행하는 의식 | - | '92 전국 민속경연 수상 | ||
2 | 강서구 | 녹산봉수대제 | - | 음력 8월 16일 | '91 복원 |
명지알씨름 | * 낙동강하류 모래사장에서 이루어지는 씨름 | 명절때 | - |
6. 낙동강수계 경상북도 지방의 전래민요
구분 | 시·군 | 지역특성민요 | 특성 및 유래 |
---|---|---|---|
1 | 고령군 | 각설이타령 | * 각설이들의 장타령 |
2 | 구미시 | 발검들 들노래 | * 발갱이들판의 농사짓기를 표현함 |
3 | 군위군 | 능금노래 | * 능금생산지로서의 군위를 상징 |
4 | 금룡군 | 이공제와 | * 물레를 저으며 부름 |
5 | 김천시 | 물레노래 | * 감천제방을 쌓을대 부르는 목도군의 노래 |
6 | 달성군 | 각설이타령 | * 각설이들의 장타령 |
7 | 문경,점촌 | 발검들 들노래 | * 발갱이들판의 농사짓기를 표현함 |
8 | 봉화군 | 능금노래 | * 능금생산지로서의 군위를 상징 |
9 | 상주시 | 상주민요 (연밥따는노래) |
* 상주평야의 영농과정 표현(경북 13호지정) (모심기에서 연밥따는 노래를 부름) |
서보가 | * 수리시설인 서보를 찬양 | ||
상주아리랑 | * 영남지방의 전통적 아리랑곡 | ||
10 | 선산군 | 선산아리랑 | * 최근세의 풍물을 담은 아리랑곡 |
11 | 성주군 | 베틀노래 | * 베틀을 짜면서 부르는 노래 |
12 | 안동시 | 저전논매기 농요 | * 두레농사를 표현 |
나루터 뱃사공노래 | * 도산면나루터 뱃사공의 노래 | ||
13 | 영양군 | 여새이 (나뭇꾼의 노래) |
* 나뭇꾼의 애환을 담은 노래 |
14 | 영주시 | 가래질노래 | * 가래질하면서 부른 노래 |
15 | 예천군 | 예천농요 | * 예천통명동의 전승 농요(국가 84호지정) |
공처농요 | * 풍양면 공덕동 주변마을 전승농요 (경북 10호지정) | ||
나루터뱃사공노래 | * 예천군 지보면 지보(지치기)나루터의 뱃사공 노래 | ||
16 | 의성군 | 기와밟기노래 | * 공민왕흥건적난대 부녀자들의 협동심을 나타냄 |
17 | 청송군 | 달개소리 | * 청송의 지명과 태백산, 낙동강이 들어있음 |
아이논매기노래 | * 아이논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 ||
18 | 칠곡군 | 가산산성자진아리랑 | * 가산산성을 중수한 기념으로 지음 |
7. 낙동강수계 경상남도 지방의 전래민요
구분 | 시·군 | 지역특성민요 | 특성 및 유래 |
---|---|---|---|
1 | 거창군 | 두레삼민요 | * 품앗이 삼을 삼으면서 부녀자들이 애환을 노래함 |
2 | 김해시 | 모심기노래 | * 김해평야에서 모심기를 하면서 부름 |
3 | 밀양시 | 밀양아리랑 | * 영남지역의 전통적인 아리랑 |
밀양수산다리 | * 수산다리를 놓고난 뒤 지음 | ||
무안노래 | * 무안지방을 자랑하는 내용 | ||
4 | 산청군 | 길삼노래 | * 길삼을 하며 부르는 노래 |
5 | 양산군 | 효충마을 달노래 | * 신라의 박제상을 청송함 |
3장수의민요(방아노래) | * 양산출신 3장수를 노래함 | ||
6 | 의령군 | 정암 뱃사공의 노래 | * 일제시대부터 6· 25때까지의 정암나루터에 얽힌 내용 |
7 | 진주시 | 의암요 | * 논개를 청송함 |
진양농요 | * 진양군 금산면을 중심으로 불러어 졌음 | ||
8 | 창녕군 | 흔들개노래 | * 기생이 지방 한량들과 놀면서 부른 노래 |
여치노래 | * 아기를 낳지 못한 여인의 심정을 그림 | ||
9 | 창원시 | 모심기 농요 | * 개천예술제 전국 모내기노래 입상 |
10 | 함양군 | 함양질 굿내기 | * 용추폭포를 배경으로 함 |
함야아리랑 | * 함양의 지명이 들어 있는 아리랑곡 | ||
11 | 합천군 | 영화로세 | * 합천 삼가지역을 노래함 |
8. 낙동강수계 대구 및 부산광역시의 전래민요
구분 | 시·군 | 지역특성민요 | 특성 및 유래 |
---|---|---|---|
1 | 대구광역시 | 공산민요 | * 팔공산 기슭 공산들판에서 부름 |
여창가곡 | * 남창 24곡, 여창 15곡을 한바탕으로 함 | ||
영제시조 | * 경상도 사람의 기풍을 나타냄용 | ||
2 | 부산광역시 | 구포장타령 | * 구포장터에서 각설이가 부른 노래 |
구포선창노래 | * 구포의 나루터 선창에서 부르던 노동요 |
9. 낙동강수계 경북지방의 문화·예술제
구분 | 시·군 | 문화·예술제 명칭 | 개최일자 | 특성 및 유래 |
---|---|---|---|---|
1 | 경산시 | 경산종합예술제 | 10월중 | 정월 민속경연대회 개최 농악경연, 투호놀이, 연날리기, 널뚜기 |
2 | 고령군 | 대가야축제 | 10월중 | 씨름대회, 농악경연 |
3 | 구미시 | 구미문화제 | 9월∼10월중 | 발검들 들노래시연, 농악경연, 씨름대회 |
4 | 군위군 | 군위문화제 | 10월 초순 | 박시놀이시연, 씨름대회, 그네뛰기, 줄당기기 |
5 | 김천시 | 김천문화제 | 10월중 | 장치기시연, 윷놀이, 농악경연 |
6 | 금릉군 | 문화예술제 | 매월문화행사 개최 | 빗내농악계승시연, 줄당기기 |
7 | 달성군 | 충효제 | 10월 중순 | 줄다리기, 농악경연, 시름대회 |
8 | 문경시 | 영강문화제 | 10월 중순 | 농악경연대회, 일반민속경기 |
9 | 봉화군 | 청량문화제 | 10월 초순 | 농악경연, 연날리기, 씨름대회, 줄다리기, 국악공연 |
10 | 상주시 | 상주문화제 | 10월 중순 | 고유제, 농악경연대회, 농공예제작경진, 궁도대회, 시조경창대회 |
11 | 선산군 | 선산군민축제 | 10월중 | 아도화상팔정도가장행렬, 농악경연 |
12 | 성주군 | 성주문화제 | 10월중 | 농악경연, 줄다리기 |
13 | 안동시 | 안동민속축제 | 음 5월단오 | 무형문화재시연, 학생· 부녀회별전승공연 |
14 | 영양군 | 군민체육대회 | 10월중 | 원놀음시연 |
15 | 영주시 | 소백문화제 | 10월 초순 | 용꼬리따기 시연, 고수놀이대회, 장기 대회 |
16 | 영풍군 | 영풍문화제 | 10월중 | 순흥줄다리기, 농악경연, 석전놀이 |
17 | 영천시 | 영천문화예술제 | 10월 초순 | 곳나무싸움시연, 농악경연, 석전놀이 |
18 | 예천군 | 예천문화제 | 10월 중순 | 무형문화제종목시연, 농악경연, 씨름대회, 국궁대회, 예솜씨대회, 바둑대회 |
19 | 의성군 | 의성문화제 | 10월 하순 | 가마싸움, 기와밟기시연, 농악경연, 연날리기, 국궁대회, 농요경창대회 |
20 | 청도군 | 도주문화제 | 10월중 | 무형문화재종목시연, 농악경연 |
21 | 청송군 | 청송문화제 | 10월말 | 국악초청공연, 풍년기원제, 농악경연, 씨름대회, 연날리기, 줄당기기 |
22 | 칠곡군 | 칠곡문화제 | 9월∼10월중 | 농악경연, 씨름대회, 그네뛰기 |
10. 낙동강수계 경남 및 강원, 대구지방의 문화·예술제
구분 | 시·군 | 문화·예술제 명칭 | 개최일자 | 특성 및 유래 |
---|---|---|---|---|
1 | 거창군 | 아림제 | 10월 초순 | 강강수월래, 농악경연, 시조경창, 민요 경창 |
2 | 김해시 | 가락문화제 | 9월 초순 | 수로왕릉제전, 농악경연, 시조경창, 민요경창 |
3 | 밀양시 | 아랑제 | 음 4월 16일 | 무형문화재종목시연, 장사씨름대회, 시조경창 |
4 | 산청군 | 지리산평화제 | 10월 초순 | 지리산산신제, 시조경창, 농악경연 |
5 | 양산군 | 삽량문화재 | 10월 초순 | 농악경연, 농요시연 |
6 | 의령군 | 의병제전 | 4월 하순 | 시조경창, 큰줄당기기, 의병차전놀이, 가장행렬 |
7 | 진주시 | 개천예술제 | 음 10월 3일 ∼ 8일 | 농악경연, 유등대회, 투우대회, 궁도대회, 연날리기, 장사씨름대회 |
8 | 창녕군 | 삼일민속문화제 | 10월 초순 | 무형문화재종목시연, 농악경연, 씨름대회, 궁도대회, 투견대회, 연날리기 |
9 | 창원군 | 향토민속경연대회 | 10월 초순 | 추천대회, 씨름대회, 농악경연, 윷놀이 |
10 | 함안군 | 아라제 | 10월 초순 | 시조경창, 투우대회, 농악경연 |
11 | 함양군 | 천령제 | 10월 초순 | 금호미찾기운동, 시조경창, 민요부르기 |
12 | 합천군 | 대야문화제 | 10월 하순 | 대야성준투가장행렬, 석전, 줄당기기 |
13 | 강원특별자치도 | 태박산 천제 | 10월중 | 태백산천제의식 |
14 | 대구시 | 달구벌축제 | 10월중 | 무형문화재종목시연, 국악한마당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