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알림마당
  • 보도·해명자료
  • 전체
전체
게시물 조회
  • 대청호 회남수역 조류경보‘관심’단계 발령
    • 등록자명 : 최승영
    • 조회수 : 884
    • 등록일자 : 2022.08.25
  • 대청호 회남수역 조류경보관심단계 발령

    - 먹는 물 안전을 최우선으로 관계기관 합동 녹조대응에 총력 -

     

    금강유역환경청(청장 정종선)825() 15시를 기준으로 대청호 회남수역에 대하여 조류경보 관심단계를 발령했다.

     

    ㅇ 이번 경보는 회남 수역의 유해남조류 세포수가 관심단계 발령기준인 1,000세포/ml2주 연속 초과함에 따라 발령되었다.

     

    ㅇ 참고로 금강유역환경청은 조류로 인한 먹는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청호 취수원 인근 3개 지점(문의, 추동, 회남)에 대하여 조류경보제를 운영하고 있다.

     

    회남수역의 조류발생 원인은 하절기 수온 상승(회남지점 8월평균 표층수온: 30.3)과 최근 대청호 유역에 발생한 강우(7.31~8.20, 283mm) 영향으로 식물플랑크톤의 먹이가 되는 영양물질(N, P)이 회남수역에 유입되어 유해남조류가 성장 및 번식한 것으로 판단된다.

     

    ㅇ 아울러, 회남수역을 제외한 추동, 문의수역의 경우 현재까지 조류경보 발령기준을 초과한 적은 없으나, 녹조 발생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 대청호 조류 분석 결과 >

    구 분

    유해남조류 세포수(세포/mL)

    조류경보제 발령기준

    (2회 연속 기준초과 시 발령)

    채수일자

    08.16

    08.22

    경보발령

    회남수역

    3,412

    139,682

    관심

    ?(관 심) 유해남조류 세포수 1,000

    ?(경 계) 유해남조류 세포수 10,000

    ?(대발생) 유해남조류 세포수 1,000,000

    추동수역

    212

    504

    -

    문의수역

    72

    682

    -

    이번 경보에 따라, 금강유역환경청은 조류경보 발령상황을 관계기관에 신속히 전파하고 녹조 저감 및 대응을 위한 대책을 관계기관과 함께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금강유역환경청에서는 올해 4월 금강수계 녹조대응 및 관리대책을 마련하고, 5월에 조류경보제 시행계획을 수립하였으며, 6월에는 관계기관과 합동 녹조 방제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

     

    또한, 경보 발령 약 두달 전부터 제1차 조류대책위원회 회의를 소집하여 관계기관(지자체, 한국수자원공사), 전문가 등이 모여 선제적으로 녹조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지난 823일 녹조 발령 직전에 2차 조류대책위원회를 소집하여 관계기관의 향후 대책과 취약시기(여름철) 관리강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ㅇ 특히, 취수구 주변 조류차단막 설치, 조류영향이 적은 깊은 수심으로의 취수구 위치 이동, 수돗물 안전을 위한 정수처리 강화 등 충청 식수원에 영향이 없도록 다양한 대책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대청호 회남수역에 대한 조류분석 결과는 금강유역환경청 홈페이지(www.me.go.kr/gg-정보마당-조류(녹조)정보알림방)’에서 조회가 가능하며, 가정으로 공급되는 정수에 대한 검사 결과는 국가상수도 정보시스템(www.waternow.go.kr)’에서 조회 가능하다.

     

    정종선 금강유역환경청장은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대전·세종·충남지역의 9~10월 기온*은 평년보다 높아 대청호 내 유해남조류 증식이 계속될 수 있다면서 그간 관계기관과 함께 마련한 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여 안전하고 깨끗한 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함께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지역별 평균기온 평년 범위 : (9) 20.3~20.9, (10) 13.5~14.5

    붙임 : 1. 대청호 현황 및 유역도 1.

    2. 조류경보 단계별 조치사항 1.

  • 첨부파일
  • 목록
  • 이전글
    금강유역 상수도 통합위기 관리 위해 관계기관 업무협약 체결
    다음글
    금강청, 녹조 발생 취약시기 먹는물 안전에 총력을 가하다.(대청호 녹조 선제적 대응을 위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   
  •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