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2025년 상반기 51차종 8만여 대 배출가스 결함시정(리콜)
  • 등록자명
    임종원
  • 부서명
    교통환경과
  • 연락처
    044-201-6924
  • 조회수
    1,585
  • 등록일자
    2025-07-15

▷ 벤츠, 비엠더블유, 지엠아시아, 포드, 한국지엠 5개 자동차 제작·수입사  의무적 결함시정(리콜) 실시 

▷ 기아 스포티지 등 5개 제작·수입사 16차종 4만여 대 자발적 결함시정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2025년 상반기 결함시정(리콜) 승인 현황을 집계한 결과, 5개* 자동차 제작·수입사에서 51차종 8만 2,537대의 차량에 대해 의무적 결함시정을 시행하거나 이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비엠더블유코리아, 지엠아시아퍼시픽지역본부,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한국지엠


결함시정 대상 차량은 운행 중에 발생한 특정 부품의 결함률이 일정 수준* 이상 축적되어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환경부로부터 결함시정 명령을 받았다. 

* 같은 연도에 판매된 동일 차종의 특정 부품에 대한 결함이 50건 이상이면서 총 판매 대수의 4% 이상인 차량 


이들 차량의 소유자는 제작·수입사에서 결함시정(리콜)을 개시할 때 우편 및 휴대폰 문자(SMS)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를 받는다. 

 

이번 결함시정 차량들의 주요 결함을 살펴보면 △응축수 형성으로 인한 센서류 손상(BMW 520d 등), △연료공급라인의 호스 연결부 누유(벤츠 S 580 4MATIC 등), △정화조절밸브 내부 부품 손상으로 인한 증발가스 누설(포드 Lincoln Corsair 2.0), △고온에서 정화용 촉매 파손(한국지엠 크루즈 1.8), △정화펌프 작동 불량(지엠아시아 캐딜락 CT4/CT5 2.0T) 등이다. 

해당 차량의 제작·수입사에서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손상 부품 교체 등의 방법으로 시정을 하거나 시행을 앞두고 있다.


( 제작·수입사별 결함시정 대상 차량 및 주요 결함(의무적 결함시정) )  제작사  대상 차종  시정대수  주요 결함  시정방안  시행시기  벤츠  S 580 4MATIC 등 15차종   17,407대  연료공급라인 누유 등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25.1월~  비엠더블유  520d 등 33차종  61,704대  센서류 손상 등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25.1월~  지엠아시아  캐딜락 CT4/CT5 2.0T  380대  정화펌프 작동 불량  정화펌프 교체  ’25.2월~  포드  Lincoln Corsair 2.0  2,644대  정화조절밸브 손상  정화조절밸브 교체  ’25.7월~  한국지엠  크루즈 1.8  402대  정화용촉매 손상  정화용촉매 교체  ’25.8월~ 

※ 상세 차종별 정보는 붙임 참조(차종별로 시행 시기가 다를 수 있음)


한편, 의무적 결함시정 대상 외에 5개* 제작·수입사에서도 자체적으로 확인한 총 16차종 4만 2,605대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자발적 결함시정을 시행하거나 실시를 앞두고 있다.

* 기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비엠더블유코리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 제작·수입사별 결함시정 대상 차량 및 주요 결함(자발적 결함시정) ) 제작사 대상 차종 시정대수 주요 결함 시정방안 시행시기 기아 스포티지 2.0 디젤2WD 등 3차종 40,161대 NOx 저감 효율 부족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25.9월~ 벤츠 AMG GT S 등 7차종 139대 촉매 효율 저하 등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25.3월~ 비엠더블유 BMW R 12 등 2차종 242대 BDC 기능 오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25.4월~ 포드 Mustang 5.0 385대 BCM 기능 오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25.5월~ 폭스바겐 A4 30 TDI 등 3차종 1,678대 ECU 기능 오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25.6월~


결함시정 대상 차량의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 내용은 자동차 제작·수입사에 연락하거나 자동차리콜센터 (www.car.go.kr)에서 자동차 등록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하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결함시정 시행 전에 자체적으로 비용을 들여 해당 결함을 시정한 자동차 소유자는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제작·수입사에 보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청구 절차 및 구비서류는 각 제작·수입사 고객센터에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이경빈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은 “자동차의 배출가스 관련 부품의 결함이 발생하는 원인을 자세히 분석하고, 자동차 제작사가 이를 개선토록 하여 대기오염을 줄이고 국민 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결함시정 대상 차종.  끝.


담당 부서 환경부 책임자 과  장  이경빈 (044-201-6920) 교통환경과 담당자 사무관 임종원 (044-201-6924) 국립환경과학원 책임자 센터장 박준홍 (032-560-7600) 모빌리티환경연구센터 담당자 연구사 신재식 (032-560-7640)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