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가정집 70%가 총부유세균 유지기준 초과
◇ 주택 실내공기 중 총부유세균의 평균 농도는 기준의 2.2배, 총부유곰팡이는 기준의 1.5배 이상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 각 가정에서는 에어컨, 가습기 등의 주기적 세척, 욕실 등 오염장소의 청소 및 습도를 60% 이하로 유지할 필요가 있음 |
□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윤승준)은 2010년 3월부터 1년간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단독 및 다세대 주택을 대상으로 새집증후군 및 아토피, 천식 유발 물질로 알려진 폼알데하이드 등 유해물질과 총부유미생물 농도 등을 조사한 결과,
○ 폼알데하이드 등 유해물질의 실내 농도는 대부분 신축공동주택 권고기준치 이하로 나타났으나(붙임1),
○ 총부유세균 및 총부유곰팡이 평균 농도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기준치 및 WHO 권고기준을 각각 2.2배, 1.5배 초과하는 수준으로 나타나 적정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밝혔다.
※ 총부유세균 및 총부유곰팡이의 정의 및 주요 발생원 (붙임2)
< 주택별 총부유미생물의 연중 평균농도 및 기준 초과율 >
주택 형태 |
총부유세균1) |
총부유곰팡이2) |
||
평균 (CFU/m3) |
초과율(%) |
평균 (CFU/m3) |
초과율(%) |
|
단독주택 (n=150) |
1,438.5 (63.3 - 4,786.7) |
70.7 (106/150) |
932.1 (46.7 - 17,413.3) |
33.3 (50/150) |
다세대주택 (n=226) |
1,969.8 (116.7 - 11,403.3) |
79.2 (179/226) |
658.5 (13.3 - 9,096.7) |
30.1 (68/226) |
1) 총부유세균 기준치 : 800 CFU/m3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기준, 현재 주택 내 기준 없음)
2) 총부유곰팡이 기준치 : 500 CFU/m3 (WHO 권고기준, 현재 국내기준 없음)
□ 총부유미생물의 주택 내 농도는 주택의 건축년도, 실내 습도, 층수 및 계절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1990년 이전에 지어진 주택이 2006년 이후에 건축된 주택보다 총부유세균 및 총부유곰팡이의 농도가 평균 1.4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오래된 집 일수록 부유미생물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붙임3)
○ 실내 습도가 60% 이상인 주택에서는 그 이하인 주택보다 총부유세균의 평균농도가 1.3배, 총부유곰팡이는 2.7배 높아 천식을 유발할 수 있는 부유곰팡이의 번식을 막기 위해서는 실내 습도의 조절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붙임3)
※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 실내 습도 권고 기준 : 20~60%
○ 다세대주택의 경우 층수에 따라 부유곰팡이의 농도가 440.0 - 1,079.7 CFU/m3으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 지하세대에서는 부유곰팡이 관리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붙임4)
○ 또한, 계절에 따른 총부유미생물 농도를 조사한 결과, 가을철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여 여름철 장마로 인한 실내 습기와 건물 누수에 대한 관리 소홀이 가을철 부유미생물의 대량 번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붙임5)
□ 주택 내 쾌적한 공기질 확보를 위하여 부유세균 및 부유곰팡이를 관리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각 가정에서는 에어컨, 가습기 등의 주기적 세척, 욕실 등 오염장소의 청소 및 습도를 60% 이하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 이와 관련하여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생활속 세균, 이렇게 관리하세요!」라는 제목의 자료집을 제작·배포하였으며, 관련내용을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환경부 http://www.me.go.kr
- 국립환경과학원 http://www.nier.go.kr
- 실내환경정보센터 http://www.iaqinfo.org
붙임 1. 단독/다세대 주택 내 유해물질 농도
2. 부유세균 및 부유곰팡이의 정의 및 주요 발생원
3. 건축년도, 실내 습도에 따른 총부유미생물의 평균농도
4. 층수에 따른 총부유미생물의 평균농도
5. 계절변화에 따른 총부유미생물의 평균농도
참고 1. 주택 내 실내공기질 측정 사진
2. 측정 주택 내 부유세균 및 부유곰팡이의 사진
3. 실내 부유미생물 번식 예방을 위한 T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