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보 개방,
지금까지 이렇게 변했습니다!<2017년 6월~2018년 12월
4대강 16개 보 중 11개 보 개방 관측 결과>4대강 16개 보 중
11개 보를 개방하여 관측한
종합분석 결과, 전면 개방했던
금강과 영산강의 자정 능력이 좋아지고
모래톱 회복 등 수생태계의 건강성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카드뉴스로 확인해 보세요:)


![어떻게 변했을까요? 하천의 자정능력 강화 보를 전면 개방한 금강과 영산강은 자정계수*가 각각 최대 8.0배, 9.8배 상승해 보 개방 시에는 하천의 자정능력이 크게 강화됐습니다. * 자정계수: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산소를 소비하는 속도와 공기 중 산소가 수중으로 공급되는 속도의 비. 자정계수가 클수록 하천의 자정능력이 우수 [구분-보 개방 전·후의 자정계수 변화 / 금강-1.3~8.0배 증가 / 영산강-2.2~9.8배 증가 / 낙동강-1.1~1.8배 증가 / 한강-3.2배 증가]](/file/readEncFile.do?fileName=d966848ebebd602cd5eafc3c5541c3fd573f016f88581c704cdbe2875682186cb52caf3ac2c649268e3d7c61a77502ea)


관측기간 개방 보 현황
(~'18.12월까지 보 개방여부)환경부는 2017년 6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4대강 16개 보 중 11개 보*를 개방해 관측했습니다.
*11개 보: 금강 3개(세종, 공주, 백제), 영산강 2개(승촌, 죽산)낙동강 5개(상주, 강정고령, 달성, 합천창녕, 창녕함안), 한강 1개 (이포)01.
어떻게 변했을까요?하천의 자정능력 강화보를 전면 개방한 금강과 영산강은
자정계수*가 각각 최대 8.0배,
9.8배 상승해 보 개방 시에는
하천의 자정능력이 크게 강화됐습니다.
* 자정계수: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산소를 소비하는 속도와 공기 중 산소가 수중으로 공급되는 속도의 비. 자정계수가 클수록 하천의 자정능력이 우수02 .
어떻게 변했을까요?수질개선 가능성 확인세종보*·승촌보** 등 보를 전면 개방한 기간이
길수록 녹조의 발생과 산소 부족 현상이 감소 하는 등
수질 개선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 세종보는 금강수계 타 보와 비교하여 수문 전면개방기간
(’18.1.24~12.31)이 길어 예년 동기간 대비 조류 농도가 30% 감소했습니다.
** 승촌보는 여름철 녹조발생기간
(‘18.6~9)의 유해남조류 출현이
예년 동기간 대비 15%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03.
어떻게 변했을까요?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환경 개선보 개방시에는 모래톱 등 생태 공간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물새류와 표범장지뱀, 맹꽁이,
삵, 수달과 같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 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보 개방 관측 결과, 다방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는데요.
환경부는 보 개방에 따른 영향을 정밀하게 파악해
4대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