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검색
ENGLISH
이동통신누리집
환경부 유투브 채널 이동
환경부 인스타그램 이동
환경부 페이스북 채널 이동
환경부 트위터 채널 이동
환경부 블로그 채널 이동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개·비공개정보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목록
사전정보공표
행정정보공개
재정정보공개
정책실명제
먹는물영업자 위반현황
환경영향평가
공공데이터개방
개방현황
개방신청
담당자 안내
감사·청렴마당
감사결과공개
감사·청렴활동 관련 규정
반부패 청렴 플랫폼
부패행위자 현황공개
적극행정
제도소개
적극행정 국민추천
소극행정신고
적극행정자료실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적극행정위원회 활동
적극행정 모니터링단 활동
정보공개시스템
바로가기
공공데이터포털
바로가기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환경신문고
환경민원포털
안전신고
밀렵·밀거래신고
습지보호지역 위반행위 신고 포상제도
예산낭비신고
보조금 부조리 신고센터
질병에 걸린 야생동물 신고 제도
공직비리(부패)신고
공공분야 갑질피해 익명신고
공익신고
민원신청
일반민원(질의응답)
자주하는 질문
서식민원
서식자료
국민참여
장관과의 대화
국민제안
설문조사
정책토론
전자공청회
정부포상 추천대상자 공개검증
환경정책 공모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국민신문고
바로가기
규제개혁신문고
바로가기
규제혁신추진단
바로가기
법령·정책
환경법령
현행법령
최근 제·개정법령
입법예고
행정예고
고시·훈령·예규
환경정책
전체
환경정책일반
환경보건
기후대기
물환경관리
상하수도
자연보전
자원순환
수자원
기타
국가법령정보센터
바로가기
발행물
환경 간행물
전체검색
환경통계연감
환경백서
대기환경월보
폐기물통계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수질통계
환경책자
알기쉬운 소책자
주제별
연도별
환경동화
환경 웹진
케미스토리
바로가기
국가환경교육 통합플랫폼
바로가기
환경부 소식지 신청
바로가기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디지털 도서관
바로가기
기관소개
기관소개
환경부 장관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일반현황
연혁
상징(MI)
안내
조직 안내
업무 안내
층별 안내
찾아오시는 길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
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마이메뉴 닫기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공데이터개방
감사·청렴마당
적극행정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민원신청
국민참여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법령·정책
환경법령
환경정책
발행물
환경 간행물
환경책자
환경동화
환경 웹진
알림·홍보
뉴스·공지
홍보자료
기관소개
일반현황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안내
알림·홍보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홍보동영상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
홍보동영상
검색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게시물 조회
2020년 환경예산 이렇게 세웠습니다
등록자명
환경부
조회수
3,830
등록일자
2019-09-04
자막
내년도 환경부 소관 예산과 기금의 주요 투자방향과 편성 주요내용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환경부는 내년도 예산안 규모를 9조 3,561억 원으로 전년대비 1조 5,064억 원 19.2% 증액 편성하여 국회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내년도 환경부 예산의 핵심적인 키워드는 ‘기본에 충실하자’입니다. 맑은 공기, 깨끗한 물과 같이 가장 기본적인 환경권 보장을 위해 재정 역량을 집중하였습니다. 앞으로 미세먼지, 붉은 수돗물, 불법폐기물, 화학물질 등 환경 현안에 적극 대응하여 환경안전망을 튼실히 구축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미세먼지 부분은 금년도 본예산보다 112% 증액된 2조 2,904억 원을 투자해서 핵심 배출원에 대한 감축을 가속화하는 한편, 내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관련 법률의 현장 적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겠습니다. 두 번째로 상수도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해서 전년대비 3배 이상 투자를 함으로써 상수원부터 수도꼭지까지 깨끗한 수돗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도록 하겠습니다. 폐기물 부분에 있어서는 처리 전 과정의 공공성을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화학물질 법령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서 현장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였습니다. 중소기업의 제도이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을 대폭적으로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전글
[환경캠프2화] 왕피구할 때 이런애들 꼭 있다?!
다음글
제 2 환경단편영화 [숨ː] 선정작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