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검색
ENGLISH
이동통신누리집
환경부 유투브 채널 이동
환경부 인스타그램 이동
환경부 페이스북 채널 이동
환경부 트위터 채널 이동
환경부 블로그 채널 이동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개·비공개정보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목록
사전정보공표
행정정보공개
재정정보공개
정책실명제
먹는물영업자 위반현황
환경영향평가
공공데이터개방
개방현황
개방신청
담당자 안내
감사·청렴마당
감사결과공개
감사·청렴활동 관련 규정
반부패 청렴 플랫폼
부패행위자 현황공개
적극행정
제도소개
적극행정 국민추천
소극행정신고
적극행정자료실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적극행정위원회 활동
적극행정 모니터링단 활동
정보공개시스템
바로가기
공공데이터포털
바로가기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환경신문고
환경민원포털
안전신고
밀렵·밀거래신고
습지보호지역 위반행위 신고 포상제도
예산낭비신고
보조금 부조리 신고센터
질병에 걸린 야생동물 신고 제도
공직비리(부패)신고
공공분야 갑질피해 익명신고
공익신고
민원신청
일반민원(질의응답)
자주하는 질문
서식민원
서식자료
국민참여
장관과의 대화
국민제안
설문조사
정책토론
전자공청회
정부포상 추천대상자 공개검증
환경정책 공모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국민신문고
바로가기
규제개혁신문고
바로가기
규제혁신추진단
바로가기
법령·정책
환경법령
현행법령
최근 제·개정법령
입법예고
행정예고
고시·훈령·예규
환경정책
전체
환경정책일반
환경보건
기후대기
물환경관리
상하수도
자연보전
자원순환
수자원
기타
국가법령정보센터
바로가기
발행물
환경 간행물
전체검색
환경통계연감
환경백서
대기환경월보
폐기물통계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수질통계
환경책자
알기쉬운 소책자
주제별
연도별
환경동화
환경 웹진
케미스토리
바로가기
국가환경교육 통합플랫폼
바로가기
환경부 소식지 신청
바로가기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디지털 도서관
바로가기
기관소개
기관소개
환경부 장관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일반현황
연혁
상징(MI)
안내
조직 안내
업무 안내
층별 안내
찾아오시는 길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
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마이메뉴 닫기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공데이터개방
감사·청렴마당
적극행정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민원신청
국민참여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법령·정책
환경법령
환경정책
발행물
환경 간행물
환경책자
환경동화
환경 웹진
알림·홍보
뉴스·공지
홍보자료
기관소개
일반현황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안내
알림·홍보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홍보동영상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
홍보동영상
검색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게시물 조회
환경 톡톡톡! 원기자가 간다! EP.15 멸종위기종 2급 소똥구리 편
등록자명
환경부
조회수
3,026
등록일자
2019-09-11
자막
#원기자 1970년대 이후로 우리나라에서 자취를 감춰 멸종위기종 2급으로 분류된 소똥구리. 최근 환경부가 몽골에서 소똥구리 200마리를 도입했습니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이배근 실장님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소똥구리가 왜 사라진거죠? #이배근 실장 - 1970년대 초반 농총에 흔하게 보이던 소똥구리인데 70년대 이후 농업 환경이 변화하며 소똥구리의 서식환경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청하고 있습니다. Q.몽골에서 도입하게된 경위는? #이배근 실장 3년 전부터 소똥구리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한국 소똥구리와 유전적으로 유사한 종이 몽골의 소똥구리가 유사하였습니다. 국립 몽골대학교와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200마리를 도입하였습니다. Q.언제쯤 소똥구리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게 될까요? #이배근 실장 우선 기본적인 생태연구와 서식지 환경분석이 필요하고 항생제와 구충제가 포함된 먹이원이 실제 영향을 주는지 연구해야 합니다. 단계별로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Q.돌발질문 : 소똥구리에 관련된 에피소드는 무엇이 있을까요? #이배근 실장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소똥구링의 종류는 38종인데 그중 경단을 굴리는 종은 3종입니다. 명종된 소똥구리를 포함해 왕소똥구리, 긴다리소똥구리가 있는데 경단을 굴리는 긴다리 소똥구리가 멸종된 것으로 오해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멸종위기종을 돈으로 보상하는 게 무리라고 판단하고 앞으로 콜센터를 운영해 멸종위기종 제보에 신속히 대응할 예정입니다. #원기자 소똥구리 같은 멸종위기종이 복원돼 우리 아이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생태환경이 하루빨리 조성되길 기원합니다.
이전글
2020년 환경부 예산 및 기금안
다음글
친환경 추석 보내기, 물산업 클러스터 오픈, 소똥구리를 찾아서(월간환경부 9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