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검색
ENGLISH
이동통신누리집
환경부 유투브 채널 이동
환경부 인스타그램 이동
환경부 페이스북 채널 이동
환경부 트위터 채널 이동
환경부 블로그 채널 이동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개·비공개정보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목록
사전정보공표
행정정보공개
재정정보공개
정책실명제
먹는물영업자 위반현황
환경영향평가
공공데이터개방
개방현황
개방신청
담당자 안내
감사·청렴마당
감사결과공개
감사·청렴활동 관련 규정
반부패 청렴 플랫폼
부패행위자 현황공개
적극행정
제도소개
적극행정 국민추천
소극행정신고
적극행정자료실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적극행정위원회 활동
적극행정 모니터링단 활동
정보공개시스템
바로가기
공공데이터포털
바로가기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환경신문고
환경민원포털
안전신고
밀렵·밀거래신고
습지보호지역 위반행위 신고 포상제도
예산낭비신고
보조금 부조리 신고센터
질병에 걸린 야생동물 신고 제도
공직비리(부패)신고
공공분야 갑질피해 익명신고
공익신고
민원신청
일반민원(질의응답)
자주하는 질문
서식민원
서식자료
국민참여
장관과의 대화
국민제안
설문조사
정책토론
전자공청회
정부포상 추천대상자 공개검증
환경정책 공모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국민신문고
바로가기
규제개혁신문고
바로가기
규제혁신추진단
바로가기
법령·정책
환경법령
현행법령
최근 제·개정법령
입법예고
행정예고
고시·훈령·예규
환경정책
전체
환경정책일반
환경보건
기후대기
물환경관리
상하수도
자연보전
자원순환
수자원
기타
국가법령정보센터
바로가기
발행물
환경 간행물
전체검색
환경통계연감
환경백서
대기환경월보
폐기물통계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수질통계
환경책자
알기쉬운 소책자
주제별
연도별
환경동화
환경 웹진
케미스토리
바로가기
국가환경교육 통합플랫폼
바로가기
환경부 소식지 신청
바로가기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디지털 도서관
바로가기
기관소개
기관소개
환경부 장관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일반현황
연혁
상징(MI)
안내
조직 안내
업무 안내
층별 안내
찾아오시는 길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
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마이메뉴 닫기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공데이터개방
감사·청렴마당
적극행정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민원신청
국민참여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법령·정책
환경법령
환경정책
발행물
환경 간행물
환경책자
환경동화
환경 웹진
알림·홍보
뉴스·공지
홍보자료
기관소개
일반현황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안내
알림·홍보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홍보동영상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
홍보동영상
검색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게시물 조회
환경부가 앞장서는 그린뉴딜 I 주간환경부
등록자명
환경부
조회수
11,636
등록일자
2020-07-15
자막
[제3회 추경 예산 4,781억 원 증대] 지난 3일 제3회 환경부 추경 예산이 국회 본회의에 의결되었습니다. 이번 추경 예산의 환경부 증액분은 4,781억 원입니다. 우선, 그린뉴딜 분야인 스마트 상하수도 구축 사업, 전기 화물차·이륜차·굴착기 보급 사업 미래 환경산업 육성 융자 환경기초시설 재생에너지 생산 등 4,617억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또한, 직접 일자리 마련을 위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방지 및 피해 예방, 활용 폐기물 분리 선별 및 품질 개선 등에 624억 원. 중소기업 지원과 디지털 뉴딜을 위한 환경 오염 측정·감시 디지털 전환, 화평법·화학제품안전법 이행 지원 등에 460억 원이 증액됐습니다. 환경부는 집행 점검단을 집중적으로 가동하고 현장 점검을 실시하는 등 예산 집행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자원순환 실천 플랫폼 OPEN!] '자원순환'이란 폐기물(wastes) 발생을 최대한 줄이고 사용한 폐기물에 대해서는 재사용(reuse) 또는 재생 이용(recovery)하며, 불가피하게 남은 폐기물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택배·배달 등 비대면 소비로 포장 폐기물이 급증하고, 그간 민관 협력으로 성과를 보이기 시작한 1회 용품 사용 억제 노력 반감되는 등 어려운 여건이 지속되고 있죠. 이에 따라, 환경부는 자원순환 대전환의 계기를 만들기 위해서 '자원순환 실천 플랫폼'을 새롭게 열었습니다. '자원순환 실천 플랫폼'에서는 폐기물 처리 시설, 일회용품, 플라스틱, 음식물 폐기물 이슈별 정보와 자원순환 방법 등 자원순환 단계별 정보 및 정부의 대응 노력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환경부는 이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우수 실천 사례와 서약 등을 공유·확산하는 등 자원순환 실천 운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지금 방문하셔서 직접 자원순환 실천 약속해 보는 건 어떠세요? Reduce 불필요한 것은 줄이고, Reuse 다시 사용하고, recycle 올바르게 재활용하고, recovery 에너지로 다시 만들고, 자원순환의 4가지 실천! 여러분도 함께해주세요. 네 지금까지 아나운서 조민경이었습니다. 다음주에도 알차고 유익한 환경정보로 찾아올께요. 안녕!
이전글
콩순이와 빨대놀이 I 환경부 X 콩순이 I KONGSUNI AND FRIENDS...
다음글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