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카드뉴스

  • 홈으로
게시물 조회
큰부리까마귀 이렇게 대처하세요!
  • 부서명
    생물다양성과
  • 등록자명
    고동훈
  • 등록일자
    2025-06-30
  • 조회수
    519

환경부 3월~7월 불청객 큰부리까마귀 이렇게 대처하세요! 이렇게 대처하세요!큰부리까마귀 3월~7월 불청객 이렇게 대처하세요! 주요 출몰시기 3월~7월 주요 출몰장소 도심전체 *특히 녹지공간이 조성된 아파트 단지 내 또는 공원 특징 형태  약 57cm로 몸 전체가 검은색이며, 부리는 크고 두툼 생태 텃새(일정 지역에서 일년내내 서식)로 전국적으로 분포 잡식성으로 소형 주류·소형 포유류·곤충·열매 등을 포식하거나 사람이 버린 음식물쓰레기를 기회적으로 포식함 주로 산지나 인가 주변의 숲에서 번식하지만 최근에는 먹이를 구하기 쉽고 둥지를 짓기 용이한 도심 지역을 선호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녹작물 또는 과수에 피해를 주거나 전주 등 전력 시설에 피해를 주는 등의 이유로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큰부리까마귀 3월~7월 불청객 이렇게 대처하세요! 공격 행동 원인 번식 시기(3월~7월)에는 둥지가 있는 장소와 알, 새끼 등을 보호하기 위해 예민해지고 공격성이 강해짐 둥지 또는 새끼 근처로 지나가는 사람 또는 개, 고양이 등을 위협요인으로 생각하고 공격할 수 있음 자연생태계에서 중요성 잡식성으로 소형동물을 포식하는 먹이사슬의 중간단계에 해당하여 생태계 균형에 다양한 역할이 가능 ※ 열매의 종자 산포 또는 사체 청소부 역할로 생태계 위생 유지에 기여 ※ 작물 해충을 포함한 곤충을 포식하여 곤충 개체수 조절에 기여큰부리까마귀 3월~7월 불청객 이렇게 대처하세요! 우산, 모자, 가방으로 머리 가리기 119에 신고하기 사전대처요령 큰부리까마귀가 공격할 때 우산을 펼치거나 모자나 가방 등으로 머리를 가리고 빠르게 지나가세요 *큰부리까마귀는 신체에서 가장 높은 머리를 주로 공격합니다 둥지나 새끼를 발견하거나 피해 발생 시 119 또는 지자체에 신고하여 주세요 공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 경고 문구를 부착하여 통행하는 시민들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야 합니다 우회 가능한 도로가 있는 경우 우회하여 이동해주세요큰부리까마귀 3월~7월 불청객 이렇게 대처하세요! 돌 던지지 않기 어린새 만지지 말기 사전대처요령 돌을 던지거나 소리를 지르는 등의 위협 행동은 큰부리까마귀를 더 자극하여 공격을 당하거나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바닥에 떨어진 어린새를 발견하면 마지지 않고, 즉시 자리를 피합니다 *큰부리까마귀는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다가오는 사람을 공격합니다 공격이 있을 때 가급적 자극하지 않고 해당 지역을 빠르게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먹이주기 금지, 이동 중 음식물 섭취 자제, 쓰레기 뚜껑 덮기를 하여 큰부리까마귀의 접근을 최소화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