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카드뉴스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제2회 대한민국 홍수안전강조주간
  • 부서명
    물재해대응과
  • 등록자명
    오창열
  • 등록일자
    2025-04-25
  • 조회수
    2,651

환경부 4월 28일 ~ 5월 2일 변화되는 기후, 민생 안전을 보듬는 제2회 대한민국 홍수안전강조주간
제2회 대한민국 홍수안전강조주간 지정·운영 변화되는 기후, 민생 안전을 보듬는 「홍수안전강조주간」 4.28.(월) ~ 5.2.(금) 주요내용 홍수안전정책포럼 광역지자체 간담회 유관기관 합동 홍수대응 모의훈련 소속·산하기관 홍수대응체계 점검회의
댐-하천 디지털트윈 플랫폼 운영 홍수시물레이션을 가상세계(디지털트윈)에 표출하여 취약·위험지역 확인 및 효율적인 홍수대응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댐-하천 연계 3D 홍수 시뮬레이션 - 실시간 댐방류 모의 및 하천 수위변화 예측 정보 제공 실시간 홍수 모니터링 - 계획홍수위 초과 및 홍수특보 발령 등 상황정보 제공 홍수위험 및 취약지역 정보 - 홍수로 인한 홍수취약지구, 지하차도 침수 등 위험정보 확인 가능
인공지능 (AI) 기술을 활용한 홍수예보 체계 고도화 AI 기술 활용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홍수예보를 전달합니다. AI 홍수예보 기존 · AI 홍수예보도입→예보지점확대(75개소→223개소) 강화 · 학습자료보완(신설수위관측소추가)→AI홍수예보정확도향상 도시침수 예보 기존 · 도시침수예보 4개지역 시범운영→서울·광주·포항·창원 강화 · 대상지역확대(+청주·부산, 6개소) · 운영체계개선(센터총괄→각 홍통주관·센터지원)
지능형 AI 기반 자동 인식 CCTV 도입 홍수위험 상태를 스스로 인지하고 판단하여 신속한 하천 상황저보 제공을 합니다. · 실시간 홍수위험 상황 자동 모니터링 · 지능형 AI CCTV 기반, 홍수위험지역의 자동감지/인식(사람·차량) 및 지자체전달을 통한 인명피해 최소화 ※ 기존 국가하천 CCTV 약 1,000대 시범구현(~'25.5월) AI 자동인식 및 감지
2025년 여름철 주요 홍수대책 홍수대응 방안이 현장에서 올바르게 작동할 수 있도록 여름철 주요 홍수대책를 추진합니다. 홍수정보의 폭넓은 전파 → 네비게이션 홍수정보 음성/화면 안내 → 홍수알리미앱 사용자 위치 중심 홍수정보 통합 표중 취약지역 사전 대비 강화 → 홍수취약지구 지정 관리 (전문기관 주관) → 홍수위험지도 활용 위험시설의 철저한 점검 및 관리 → 하천시설 일제점검 (미흡사항 보수 보강) → 노후제방 안전성 및 하수도 관리 강화 홍수기 대응역량 극대화 → 다목적댐(20개소) 홍수조절용량 추가확보(68.1억㎥) → 발전용 댐 및 접경지역 댐 운영 개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