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대기마당
  • 대기환경정보
  • 여름철 오존관리
  • 오존 개요
오존 개요

오존이란?

(정의) 산소분자(O2)에 산소원자(O)가 결합하여 산소원자 3개(O3)로 구성된 기체

(위해성) 성층권 내 오존(지상 25km 부근)은 자외선을 막아주지만 지표 근처 오존은 인간과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줌

  • (건강) 자극성과 산화력이 강해 감각기관과 호흡기에 영향을 주며, 고농도 오존 노출시 만성 호흡질환, 천식 등 유발
    *오존농도 상승으로 초과사망자 수가 2010년(1,248명)과 비교하여 2019년(2,913명)에 2배 이상 증가(질병관리청 기후보건영향평가 보고서, ’22.3)
  • (식물) 식물 조직파괴로 생장 저해, 특히 곡물 수확량 감소*영향
    *여름 낮 0.12ppm 이상 지속 노출 시 대두 50% 옥수수 25% 등 수확량 감소(美 농무부, 2016)
  • (기후변화) 오존은 지구온난화지수(GWP)가 약 1,000인 온실가스로, 전체 기후변화 영향의 약 3%(CO2의 22%)를 차지(IPCC 보고서, 2014)*
    *대류권 오존은 이산화탄소(CO2), 메탄(CH4)에 이어 3번째로 중요한 온실가스로 보고됨

오존 생성 원인

고농도 오존은 햇빛이 강한 여름철 낮시간에 습도가 낮고, 풍속이 약한 안정적인 기상조건하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질소산화물(NOx)이 반영하여 생성

  • (NO₂) 대기 중의 이산화질소(NO2)가 햇빛에 광분해 시 산소원자(O)가 분리되며, 이 산소원자가 대기 중의 산소(O2)와 결합하여 오존(O3) 생성
  • (VOCs)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광분해된 일산화질소(NO)를 이산화질소(NO2)로 되돌려서 오존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함
    → 오존은 직접 배출되지 않는 2차 생성물질로, 원인물질(NOx, VOCs)* 관리 필요
    * NOx와 VOCs는 미세먼지 원인물질이기도 함

오존 원인물질 배출원(CAPSS 2022년)

수도권 VOCs 배출현황

구분 총계
(단위:톤)
유기용제
사용
생산공정 도로이동
오염원
비도로
이동오염원
폐기물
처리
에너지
수송·저장
기타
서울 54,677 46,245 0 4,741 1,426 560 664 1,041
인천 45,506 24,911 10,831 2,188 1,789 2,231 1,312 2,244
경기 191,377 144,812 7,845 6,545 5,862 11,088 5,099 10,126
합계 291,560 215,968 18,676 13,474 9,077 13,879 7,075 13,411
비율 100% 74.1% 6.4% 4.6% 3.1% 4.8% 2.4% 4.6%

  - ‘유기용제 사용’ 부문 세부 배출현황

구분 총계
(단위:톤)
도장시설 기타 유기용제 사용 세정시설 세탁시설
서울 46,245 13,759 28,510 272 3,704
인천 24,911 12,556 9,062 2,244 1,049
경기 144,812 74,892 57,407 7,929 4,584
합계 215,968 101,207 94,979 10,445 9,337
비율 100% 46.9% 44.0% 4.8% 4.3%

수도권 NOx 배출현황

구분 총계
(단위:톤)
도로이동
오염원
비도로
이동오염원
비산업
연소
에너지
산업 연소
제조업
연소
폐기물
처리
기타
서울 52,603 20,352 12,547 18,573 423 138 540 30
인천 41,334 13,346 14,239 4,760 5,685 1,820 277 1,207
경기 137,201 65,972 34,806 18,132 8,413 6,565 1,555 1,758
합계 231,138 99,670 61,592 41,465 14,521 8,523 2,372 2,995
비율 100% 43.1% 26.6% 17.9% 6.3% 3.7%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