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컨텐츠 화면


- 대기마당
- 대기환경정보
- 여름철 오존관리
- 오존 개요
오존 개요
오존이란?
(정의) 산소분자(O2)에 산소원자(O)가 결합하여 산소원자 3개(O3)로 구성된 기체
(위해성) 성층권 내 오존(지상 25km 부근)은 자외선을 막아주지만 지표 근처 오존은 인간과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줌
- (건강) 자극성과 산화력이 강해 감각기관과 호흡기에 영향을 주며, 고농도 오존 노출시 만성 호흡질환, 천식 등 유발
*오존농도 상승으로 초과사망자 수가 2010년(1,248명)과 비교하여 2019년(2,913명)에 2배 이상 증가(질병관리청 기후보건영향평가 보고서, ’22.3) - (식물) 식물 조직파괴로 생장 저해, 특히 곡물 수확량 감소*영향
*여름 낮 0.12ppm 이상 지속 노출 시 대두 50% 옥수수 25% 등 수확량 감소(美 농무부, 2016) - (기후변화) 오존은 지구온난화지수(GWP)가 약 1,000인 온실가스로, 전체 기후변화 영향의 약 3%(CO2의 22%)를 차지(IPCC 보고서, 2014)*
*대류권 오존은 이산화탄소(CO2), 메탄(CH4)에 이어 3번째로 중요한 온실가스로 보고됨
오존 생성 원인
고농도 오존은 햇빛이 강한 여름철 낮시간에 습도가 낮고, 풍속이 약한 안정적인 기상조건하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질소산화물(NOx)이 반영하여 생성
- (NO₂) 대기 중의 이산화질소(NO2)가 햇빛에 광분해 시 산소원자(O)가 분리되며, 이 산소원자가 대기 중의 산소(O2)와 결합하여 오존(O3) 생성
- (VOCs)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광분해된 일산화질소(NO)를 이산화질소(NO2)로 되돌려서 오존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함
→ 오존은 직접 배출되지 않는 2차 생성물질로, 원인물질(NOx, VOCs)* 관리 필요
* NOx와 VOCs는 미세먼지 원인물질이기도 함
오존 원인물질 배출원(CAPSS 2019년)
수도권 VOCs 배출현황
- 유기용제 21.3만톤(70%), 생산공정 2.2만톤(7.2%), 도로이동오염원 1.7만톤(5.6%) 순
총계 (단위:톤) |
유기용제 사용 |
생산공정 | 도로이동 오염원 |
비도로 이동오염원 |
폐기물 처리 |
에너지 수송·저장 |
기타 |
---|---|---|---|---|---|---|---|
305,017 (100%) |
213,643 (70.0%) |
21,897 (7.2%) |
17,188 (5.6%) |
16,375 (5.4%) |
15,303 (5.0%) |
8,055 (2.6%) |
12,556 (4.1%) |
- ‘유기용제 사용’ 부문 세부 배출현황
총계 (단위:톤) |
도장시설 | 기타유기용제사용 | 세정시설 | 세탁시설 |
---|---|---|---|---|
213,643 | 103,109(48.3%) | 90,595(42.4%) | 10,336(4.8%) | 9,603(4.5%) |
수도권 NOx 배출현황
- 도로이동오염원 14.1만톤(49%), 비도로이동오염원 7.5만톤(26%), 비산업연소 4.1만톤(14%) 순
총계 (단위:톤) |
도로이동 오염원 |
비도로 이동오염원 |
비산업 연소 |
에너지 산업 연소 |
제조업 연소 |
폐기물 처리 |
기타 |
---|---|---|---|---|---|---|---|
289,631 (100%) |
141,196 (48.8%) |
75,444 (26%) |
41,473 (14.3%) |
15,789 (5.5%) |
9,435 (3.3%) |
3,039 (1.0%) |
3,255 (1.1%) |